top of page

INFORMATION
알아두세요!
해충정보
딱정벌레란?
-
딱정벌레의 정확한 명칭은 '외미거저리(Alphitobius diaperinus)'이다.
성충의 크기는 6mm내외로, 몸색깔은 황갈색에서 검정색이며, 유충의 크기는 7.5mm이다. 주 로 깔짚 내에서 성장하며 식물이나 곰팡이, 파리와 벼룩(알, 유충, 번데기), 응애, 사료, 계분, 죽거나 질병에 감염된 닭 등 다양한 것들을 먹는 잡식성이다.
-
딱정벌레의 알은 4~7일이면 부화하여, 약 7주간 애벌레 시기를 거친다. 깔짚 속이나 나무, 단열재 등의 안에서 14일간 번데기 시기를 거치며, 성충이 되면 약 2년간 110개의 알을 낳는 다.
-
딱정벌레는 20세기 이전에는 유럽 일부 국가에만 서식하였으나, 무역의 발달로 전 세계에 퍼져있다. 주로 유통경로(중추, 난좌, 농장간의 이동)를 통해 감염된다. 유통경로 뿐만 아니라 야생조류(비둘기, 텃새 등)와 야생동물(쥐 등)을 통해 전파되기도 한다. 성충은 날개가 있어 먼 거리 이동이 가능하다.
-
딱정벌레 중 특히 외미거저리가 육계농장에서 가장 문제시 될 것으로 예상되며, 이 해충은 병아리에 상처를 입혀 스트레스와 함께 생장을 지연시키고 상품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, 살모넬라 등 가금류 질병의 전파 및 축사 잔열재의 손상 등을 통해 육계 농가에 경제적 피해 를 주고 있다.
-
외미거저리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육계용 병아리를 농장에 입식하기 전에 살충제를 살포하 고 있지만, 저항성 및 잔류 문제와 함께 방제 효과가 그리 높지 않아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.
딱정벌레(외미거저리)에 의한 피해
-
외미거저리는 육계용 계사에서 종령 애벌레가 보호받을 수 있는 용화장소를 찾고, 적절한 토양을 찾을 수 없을 경우 단열재 및 목조구조물로 뚫고 들어가 단열효과를 20~30% 낮춘다.
따라서 농가의 난방비 및 수리비용이 증가하게 된다.
-
육계용 닭이 외미거저리 성충 및 미성숙 단계를 섭취하면 사료전환효율과 체중증가를 감소 시킬 수 있다.
-
외미거저리는 쉬고 있는 닭들의 깃털로 기어 올라가 수분을 얻기 위해 깃털의 모낭 주위의 피부를 물어뜯어 피부에 백혈증과 유사한 진물이 나는 상처나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다.
-
외미거저리는 수많은 가금류 병원체 및 기생충과 함께 다양한 식품매개질병 인자들의 보유 원 및 매개자로 알려져 있다.
-
작업자들에게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다.
손상된 천장단열
열 영상
손상된 내부벽 단열제
열 영상
현재 해결방법
01
양계농가에서 외미거저리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고, 방제를 위해 농약을 무분별하게 사용하 여 잔류와 오남용이 되고 있다. (주요 사용 농약 : DDVP, 파단, 세빈, 피프로닐 외 무허가 제품 다수)일부 농약상에서 권장하는 농약을 무작위로 처방하여 사용하는 실정이다.
02
좋아하는 서식지를 만들어주고 계속 포획해 잡는 수밖에 없다.
03
확실한 방법은 깔집을 닭 출하시마다 바꾸어 주는 것이나, 깔집을 구하기 어려워 재사용을 많이 하고 있는 실정이다.
FarmCQ의 해결방법 연구
영·호남권, 충청권, 경기·강원권 각각의 육계 농장을 계사 형태에 따라 구분하여 여름철(6~8 월) 및 가을철(9~10)월 해충 발생 실태를 파악한다.
서식해충 종류, 해충별 생태적 특성을 지역별/시기별/계사형태별/위생관리 특성 별 오염 실 태를 비교한다.
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살충제, 천연물질, 생물적 방제인자를 이용한 방제법과 효과를 분석 한다.
살충제 선발
외미거저리에 대한 약제감수성 및 사용가능 약제를 선발하여 실내실험을 통한 현장 적용 가 능성을 평가하고, 이를 바탕으로 농가현장 최적처리 농도로 약제를 살포 한 후 모니터링하여 방제효과를 판정한다.
생물학적 방제법 선발
가장 유력한 후보는 곤충병원성 곰팡이 중 하나인 백강균(Beauveria bassiana)이다. 살충 제의 경우 한 가지 약제를 여러 번 처리하게 되면 해충의 저항성이 발현될 수 있으며, 직접적 으로 약제에 노출되지 않으면 방제 효과를 보기 어렵다.
양계장의 경우 포자의 발아에 필요한 조건인 온도와 습도가 충족이 되며, 잔류가 되면서 지 속적인 방제가 가능하다.
효과적인 방제를 위해 고려할 사항들
-
딱정벌레의 발생장소의 판단(예. 사료빈, 흘린사료, 두엄구덩이, 계사 외부 주위)
-
깔집의 습기를 낮게 유지 한다. 습기가 높은 깔집은 많은 암모니아를 유발할 뿐 아니라 벌 레와 애벌레의 중요한 영양분이다. 육추기간 계군사이에 규칙적인 급수라인의 유지는 누수를 막고 딱정벌레 수의 감소를 도울 수 있다.
-
적절한 살충제를 사용하고 농장 내 적절한 살충제 처리 위치를 고려 한다.
-
살충제는 사용설명서에 따라 적량 사용 한다.
-
살충제 사용패턴을 평가해보고 살충제 별로 회전하며 사용을 계획하고, 계사 내 살충제 내 성을 막기 위한 분산 사용을 계획 한다.
-
급이기 라인 밑, 급수기 라인 및 바닥을 따라있는 내부의 벽과 같이 벌레가 선호하는 지점 을 선택적으로 처리한다.
-
닭 출하 후 24~48시간 내에 처리한다. 닭이 나간 다음 바로 처리하는 것은 첫 48시 간 이 후에 처리한 것보다 높은 수치의 살충력이 있다.
-
깔집 밑 몇 인치 밑에 있을 수 있는 벌레와 애벌레에 닿을 수 있도록 처리를 한다. 많은 농 장은 깔집 안으로 살충제가 혼합되도록 바닥 로타리 칠 때 사용하면 효과적이다. 이것은 더 많은 벌레와 유충과의 접촉하기 때문이다.
-
휴지기에 2번 약제 처리하는 것은 벌레수가 상당히 감소 할 수 있다. 그 경우에 프로그램은 닭이 나간 다음 48시간 내에 한번 사용할 수 있고, 입추전과 예비가열이 시작된 후에 재처리 한다. 두 번째 처리에 사용된 살충제는 처음 또는 둘째에 사용된 것과 동일 할 수도 있고 다 른 살충제로 하면 효과적이다.
bottom of page